아메리칸 조크

아메리칸 조크 - 이혼 후의 개 사육권과 방문권

양치석 2022. 8. 14. 06:00

My law partner was presenting a no-fault divorce case to an Ohio domestic-relations court. The couple involved had no children, but they did have a dog, of whom both were very fond.

My partner stated that both parties agreed to share whatever medical expenses might be necessary for the care of the animal.
They also agreed that the wife would have custody, but that the husband would be allowed visitation rights.

The judge, looking somewhat startled, peered down at the husband and asked, "Is this true?"
The husband replied, "Yes, Your Honor."

"Well," intoned the judge, with a trace of a smile on his face, "you should know that there is nothing this court can do for you if the dog refuses to see you."


나의 법률 사무소 동업자는 오하이오 가정법원에서 무과실책임 이혼소송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사건 부부에게 아이들은 없었다, 그러나 그들에게 개 한 마리가 있었는데, 양쪽 다 그 개를 끔찍이 좋아했다.

나의 동업자는 쌍방 모두 그 동물을 돌보는 데 필요한 의료 비용은 무엇이든지 분담하는 데 동의하였다고 말하였다.
그들은 또한 아내가 사육권을 갖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남편에게 방문권을 허락하였다.

판사가 다소 놀란 표정으로, 그 남편을 내려다보고 물었다, "이게 사실입니까?"
남편이 대답하였다, "예, 판사님."

"음," 하고 판사가 얼굴에 미소의 기색을 띠고 말했다, "만약 그 개가 당신을 보기 싫어하면 이 법정에서는 당신을 위해 어떤 일도 해 줄 수 없다는 것을 당신은 알아야 합니다."

[참고]
* no-fault divorce case ☞ 무과실책임 이혼소송
* domestic relations court ☞ 가정법원
* custody ☞ 양육권
* visitation rights ☞ 방문권

728x90